쉽게 말하자면 (11) 썸네일형 리스트형 드립커피는 건강에 좋은가 드립커피란?분쇄한 커피 빈(Coffee Bean)을 거름망을 장치한 깔때기(Dripper)에 담고, 온수를 통과시켜 추출하는 커피다. 만약 온수가 아닌 냉수를 이용하면 콜드 브루커피가 된다.국내에서는 주로 드립커피라고 하며, 푸어오버(pourover)는 물을 한번에 붓는 방식만을 한정하여 사용된다. 이 때는 소위 '정드립'이라고 불리는 일본식 나눠 붓기 드립법과 구분되는 추출기법을 의미한다.영미권에선 '드립 커피(Drip coffee)'보단 '푸어오버 커피(Pour-over coffee)'나 '필터드 커피(Filtered coffee)'라는 명칭을 더 많이 사용한다. 스웨덴 연구팀, 드립커피는 머신커피 보다 콜레스테롤 낮아 심혈관 질환 위험 줄인다. 스웨덴 웁살라대 연구팀은 커피 추출 방식과 체내 L.. 이천쌀을 세종대왕에게 진상하게되는 사연, 군량리와 양녕대군 양화천을 따라 흐르는 양녕대군의 발자취 군량리는 농촌이 고향인 사람들은 어린 시절의 향수를 되새겨볼 수 있는 아늑하고 평화로운 농촌마을이다. 양화천이 마을 앞으로 감돌아 흐르고 천의 양옆으로 드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다.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군량리는 양녕대군(1394-1462)이 18년간 머문 동네라고 한다.양녕대군은 태종의 맏아들이자 세종대왕의 큰형이다. 어릴 때부터 영특해 어린 나이에 왕세자로 책봉된 그는 군왕이 되기 위한 학문과 언행,덕행 등에 대한 교육을 충실하게 받았다. 그러다 20대 이후부터는 자유분방한 생활을 했다. 신하들은 이를 몹시 못마땅해 했는데, 결국 궁에서 쫓겨나 긴 세월 유배 생활을 해야 했다. 그곳이 바로 이천시 대월면 군량리다.군량리라는 마을 이름은 양녕대군과 관련이 있다고 .. 우리를 건강하게, 식재료 브로콜리 브로콜리(broccoli)는 양배추의 일종으로 우리가 먹는 부분은 어린 꽃과 꽃대라고 할 수 있다. 브로콜리는 양배추, 콜리플라워, 케일, 콜라비와 같은 종이고원산지는 지중해 동부지역으로 고대 로마시대부터 길렀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2000년대 웰빙 열풍과 함께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소개되었다. 특이한 향과 맛이 없어서 데친 다음 초장에 찍어 먹고 있다. 한국과 달리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생으로 샐러드 형태로 먹는다고 한다. 브로콜리를 생으로 먹으면 배에 가스가 차 속이 쓰릴 수 있다고 하는데 이건 아주 많이 먹어야 하기 때문에 걱정할 필요 없다. 브로콜리 조리법 서양에서는 브로콜리가 맛이 없어 치즈를 뿌려 먹거나, 이탈리아에서는 마늘, 올리브유와 함께 볶아 먹는다. 브로콜리를 데쳐 쌈장 또는 .. 언제 사우나 한 번 같이 합시다 아니면 찜질은 어떼요? 사람을 만난다는 것은 즐거운 일입니다. 사람들을 밖에서 만날 때, 장소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장소가 행위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밥집에서 만나 가지고 영화를 볼 수는 없지 않은가! 주로 밥집에서 만나 같이 밥 먹는 경우가 있고, 시간이 여의치 않을 경우에는 차를 마신다. 또 뭐가 있나요? 영화를 보거나, 게임을 하거나, 탁구나 당구를 치거나, 피부관리를 받는 경우도 있겠네요. 여러분은 이것들 중 뭐가 제일 좋은가요? 온천욕과 사우나가 좋지 않은가요?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서로가 만나서 모두가 즐겁고 건강해질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같이 목욕을 하거나, 사우나하기 또는 워터파크 물놀이, 찜질하기 등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언제 사우나 한 번 같이해요"이런 인사말을 하는 것은 어떨까요. 오늘은 건강.. 웰다잉의 5가지 조건 인간은 누구나 죽음에 직면하지만 죽음을 망각한 채 살아간다. 갑자기 또는 예감하던 죽음을 맞이하게 될 때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공통적으로 후회하는 것이 있다. 1. 삶의 태도2. 일에 대한 집착3. 감정에 솔직하지 못했던 점4. 친구/가족과의 지속적 교류의 부족 이것을 통해 웰다잉의 5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조건내용예측죽음에 대한 인식 및 예측 가능결정죽음의 순간을 함께 할 사람 결정선택생명 연장에 관한 결정권 선택시간이별 통보 시간 확보주체죽음 시간 인식과 짧은 생명 연장의 포기 완화의료 전문의 85명에게 웰다잉에 대해 물었다. 1. 평화로운 죽음의 순간은 불안함에서 벗어나는 것이다.2. 누군가 곁에서 지켜보는 것이다. 3. 아이들과 함께 있는 것이다. 삶과 죽음은 분리된 2개의 것이 아니.. 죽음은 사건이 아니라 과정이다 죽음은 사건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이유1. 죽음이 도둑처럼 갑자기 처들어오는 급작스런 사건이 아닌 경우가 많다.2. 죽음은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없다. 삶의 과정에서 서서히 다가오는 것이고, 삶의 맨 끝맺음이라고 할 수 있다. \3. 죽음은 삶의 일부이므로 죽음으로만 한정하지 말고 삶에 대해 이야기 해야 한다. 4. 좋은 죽음은 없다. 좋은 삶이 곧 좋은 죽음이다. 아래 내용은 김진석이 보건사회연구원에 투고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존엄한 죽음, 우리 사회는 준비되어 있는가?Are We Ready to Make Death with Dignity Possible?김진석 1. 사고와 같이 어느날 갑자기 준비되지 않은 채 맞이하는 죽음보다, 오랜 시간 차곡차곡 쌓아온 생애말기의 지난한 과정들 끝에 기다리고..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낯설게 보기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낯설게 보기:죽음의 통치성과 은폐된 욕구Defamiliarizing Self-Determination on Death: Governance of Death and Concealed Desire최혜지 1. 죽음이 의학적 실패로 간주됨에 따라 첨단 기술을 동원한 생명 연장은 의학의 승리로 환영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러운 죽음은 거부되고 무의미한 생명 연장이 확대되면서 자신의 의지대로 생의 마지막 기간을 보내는 존엄한 죽음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다. 존엄한 죽음, 즉 존엄사는 2009년 무의미한 연명치료 장치 제거 등에 관한 대법원 판결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특히 이 판결은 존엄사가 「대한민국헌법」 제10조1) 에 기초한다고 밝혀 헌법이 존엄한 죽음에 대한 법적 근거임을 공식화했다.. 죽음의 역설(죽음의 비실제성에 대하여)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낯설게 보기:죽음의 통치성과 은폐된 욕구Defamiliarizing Self-Determination on Death: Governance of Death and Concealed Desire최혜지 죽음은 명확히 실재하는 현상이지만 나의 죽음은 나에게 부존재한다는 역설이다. 모든 생명은 죽음에 이르는 순간 정신적, 신체적 활동을 멈추고 더 이상 현존하지 않는 무존재가 된다. 사망에 이르는 순간, 죽음을 인식해야 할 주체는 사라지고 무존재화되어, 죽음의 당사자에게 죽음은 일어날 수 없는 현상이 된다(Nagel, 1979, 김분선, 2020에서 재인용). 생존해 있는 동안 개인은 자신의 죽음을 의식하고, 죽음은 불안의 궁극적 원천으로 개인의 삶을 지배한다. 그러나 죽음이 현실이 .. 나이들어 서럽다? 그럼 왜 나이 많다고 반말하나요? 나이 든 사람들과 함께 있으면, 분위기가 칙칙해지고 돈이 많이 든다는 얘기가 있다. 나이 든 사람들과 함께하기를 꺼려한다. 왜?자기 보다 나이가 적은 사람에게 함부로 대하기 때문이다. 50대 여성들 사이에서 특히 심하다고 한다.사람을 처음 만나면 우선 나이부터 따지고, 언니 동생 관계를 정리하려고 한다. 자기 나이를 실제보다 많게 말하는 사람도 있었던 것 같다. 그것이 드러나면, 관계는 거의 절단나는 것이다. 한국만 나이를 기준으로 엄격하게 서열을 나눈다. 같은 유교 및 한자문화권인 일본, 대만이나 중국에서도 1~2살 나이 차이를 가지고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는다. 유독 한국사회에서만 1년 2년 차이가 난다는 이유로 다른 사람에게 반말을 하거나 무시하거나 가르치려고 한다. 나이에 따른 존경 .. [성경] 하나님 아버지, 왜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나? 여러분은 '아버지', 라고 말하면 어떤 느낌인가요?성경에서 왜 하나님을 아버지라고 부를까요? 성경책 맨 첫 페이지를 넘기면, 주기도문과 사도신경이 있습니다.기독교(개신교) 예배에서 가장 중요한 2가지를 골라 담은 것이지요. 가장 바람직한 기도의 예문인 주기도문, 그리고 신앙의 핵심내용을 담고 있는 신앙고백이 바로 사도신경입니다. 위 2개의 내용을 살펴보면, 하나님 아버지라는 말이 공통적으로 강조되고 있습니다. 주기도문은 예수님이 제자들에게 가르치신 기도이며, 기독교 신앙에서 기도의 모범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일상적인 필요와 구원을 간구하는 기도입니다.사도신경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 교리를 요약한 신앙 고백문으로,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한 신앙을 고백하고 교회의 연합을 상징합..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