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차리기

빠알리경전, 부처 당시 언어로 말하다

반응형

빠알리어는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당시의 언어입니다. 

인도에서는 암송으로 말씀이 전해지기 때문에, 문자체가 아니라 노랫말처럼 반복되고 댓구를 이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빠알리경전 표지
빠알리어란

 

 

무상하고 괴롭고 수시로 변하는 것을 두고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은 나이다, 이것은 나의 자아다'라고 생각하는 것이 합당한가?

합당하지 않습니다.

자아에 관한 가르침

 

반응형

육신을 영원한 '자아'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나의 것"이라고 애착하지 않으며, 육신에서 즐거움을 찾지 않는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
무엇이든지 늙고 죽는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존재하는 것은 모두 죽는다

 

뗏목의 비유(집착을 버림)

어떤 사람이 긴 여행을 하고 있었는데 크고 깊고 넓은 강물을 만났다고 하자. 
그런데 가가 있는 쪽은 두렵고 위험한 반면 건너편 언덕은 안전하고 위험이 없었다. 그런데 거기에는 저쪽으로 건너는 다리도 배도 없었다. 그는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저편 언덕은 안전하다. 그런데 건널 다리도 배도 없다. 뗏목을 만들면 좋을 것이다. 

강을 건너 저쪽 언덕에 도착하여 그는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이 뗏목은 나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니 이제 나는 이 뗏목을 머리에 이고 가고 싶은 곳으로 가면 어떨까?

 

뗏목 비유
부처의 최초 설법 중도
8정도

 

 

8정도, 불법의 핵심

2024.10.21 - [알아차리기] - [예수 vs 부처], 웃음 없는 예수와 울음 없는 붓다

 

 

[예수 vs 부처], 웃음 없는 예수와 울음 없는 붓다

신의 경지에 이르렀다고 생각되는 성인들께서는 과연 호탕하게 웃었다는 기록이 있는가? 아니면, 눈물을 흘리면서 울었다는 기록이라도 있는가?   인간의 몸으로 살아가면서 웃지도 않았고

boddeul.tistory.com

 

2024.09.21 - [알아차리기] - 깨닫는다는 것, 알아차림의 의미

 

깨닫는다는 것, 알아차림의 의미

깨닫는다는 것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는 다르다. 몰랐던 뭔가를 새롭게 알게 되었다는 것이나 물질의 운동이나 변화의 원리를 이해하게 되었다는 것과도 다르다.  공자님 말씀 논어

boddeul.tistory.com

 

 

2024.10.05 - [알아차리기] - 법륜스님, 붓다의 수행과 깨달음 그리고 죽음에 대하여

 

법륜스님, 붓다의 수행과 깨달음 그리고 죽음에 대하여

윤회와 해탈에 대한 강연내용입니다. 불교방송 유튜브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6_19ep0dOs)    강연에 앞서 법륜스님은 종교적 측면에서 윤회와 해탈, 진리 탐구측면에서

boddeul.tistory.com

 

https://botteul.tistory.com/entry/%EC%B1%85-%EC%B2%A0%ED%95%99%EC%9D%98-%EC%9C%84%EC%95%88-%EA%B0%80%EB%82%9C%ED%95%9C-%EC%A1%B4%EC%9E%AC%EB%93%A4%EC%9D%84-%EC%9C%84%ED%95%98%EC%97%AC

 

[책] 철학의 위안, 가난한 존재들을 위하여

알랭드 보통이 가난한 이들을 위해 쓴 글을 읽어보자.먼저, 당신은 가난한가? 부자인가? 어디에 속하는지 생각해보자.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부자를 꿈꾸며 살아가지만 사실 부자가 되면 행복

botteul.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