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07) 썸네일형 리스트형 인간의 착시와 테니스 경기에서 시선처리 인간의 눈은 세상에 존재하는 것을 있는 그대로 볼 수 없습니다.그리고 동영상으로 보는 것도 아닙니다. 마치 영화필름처럼 정지사진을 여러장 찍으면서 외부 세계를 재구성하여 인식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시각정보처리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리 눈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자. 우리 눈은 맹점이 있습니다. 외부 환경을 볼 때 맹점을 볼 수 없어 구멍난 그림을 보지만 그 맹점을 느끼지 못합니다. 인간의 생존에 불필요한(변하지 않는, 의미 없는) 정보는 없는 것처럼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싸카드 억제는 인간의 시각정보처리 과정이 아주 짧은 순간 특정 지점에 촛점을 맞추는 여러 장의 사진을 찍어서 보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간의 시각정보처리에서 사카드 억제(saccadic suppression)는 빠른 .. 웰다잉의 5가지 조건 인간은 누구나 죽음에 직면하지만 죽음을 망각한 채 살아간다. 갑자기 또는 예감하던 죽음을 맞이하게 될 때사람들이 자신의 삶에 대해 공통적으로 후회하는 것이 있다. 1. 삶의 태도2. 일에 대한 집착3. 감정에 솔직하지 못했던 점4. 친구/가족과의 지속적 교류의 부족 이것을 통해 웰다잉의 5가지 조건을 제시한다. 조건내용예측죽음에 대한 인식 및 예측 가능결정죽음의 순간을 함께 할 사람 결정선택생명 연장에 관한 결정권 선택시간이별 통보 시간 확보주체죽음 시간 인식과 짧은 생명 연장의 포기 완화의료 전문의 85명에게 웰다잉에 대해 물었다. 1. 평화로운 죽음의 순간은 불안함에서 벗어나는 것이다.2. 누군가 곁에서 지켜보는 것이다. 3. 아이들과 함께 있는 것이다. 삶과 죽음은 분리된 2개의 것이 아니.. 죽음은 사건이 아니라 과정이다 죽음은 사건이 아니라 과정이라는 이유1. 죽음이 도둑처럼 갑자기 처들어오는 급작스런 사건이 아닌 경우가 많다.2. 죽음은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없다. 삶의 과정에서 서서히 다가오는 것이고, 삶의 맨 끝맺음이라고 할 수 있다. \3. 죽음은 삶의 일부이므로 죽음으로만 한정하지 말고 삶에 대해 이야기 해야 한다. 4. 좋은 죽음은 없다. 좋은 삶이 곧 좋은 죽음이다. 아래 내용은 김진석이 보건사회연구원에 투고한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존엄한 죽음, 우리 사회는 준비되어 있는가?Are We Ready to Make Death with Dignity Possible?김진석 1. 사고와 같이 어느날 갑자기 준비되지 않은 채 맞이하는 죽음보다, 오랜 시간 차곡차곡 쌓아온 생애말기의 지난한 과정들 끝에 기다리고..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낯설게 보기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낯설게 보기:죽음의 통치성과 은폐된 욕구Defamiliarizing Self-Determination on Death: Governance of Death and Concealed Desire최혜지 1. 죽음이 의학적 실패로 간주됨에 따라 첨단 기술을 동원한 생명 연장은 의학의 승리로 환영되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러운 죽음은 거부되고 무의미한 생명 연장이 확대되면서 자신의 의지대로 생의 마지막 기간을 보내는 존엄한 죽음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다. 존엄한 죽음, 즉 존엄사는 2009년 무의미한 연명치료 장치 제거 등에 관한 대법원 판결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특히 이 판결은 존엄사가 「대한민국헌법」 제10조1) 에 기초한다고 밝혀 헌법이 존엄한 죽음에 대한 법적 근거임을 공식화했다.. 죽음의 역설(죽음의 비실제성에 대하여)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권 낯설게 보기:죽음의 통치성과 은폐된 욕구Defamiliarizing Self-Determination on Death: Governance of Death and Concealed Desire최혜지 죽음은 명확히 실재하는 현상이지만 나의 죽음은 나에게 부존재한다는 역설이다. 모든 생명은 죽음에 이르는 순간 정신적, 신체적 활동을 멈추고 더 이상 현존하지 않는 무존재가 된다. 사망에 이르는 순간, 죽음을 인식해야 할 주체는 사라지고 무존재화되어, 죽음의 당사자에게 죽음은 일어날 수 없는 현상이 된다(Nagel, 1979, 김분선, 2020에서 재인용). 생존해 있는 동안 개인은 자신의 죽음을 의식하고, 죽음은 불안의 궁극적 원천으로 개인의 삶을 지배한다. 그러나 죽음이 현실이 .. 김장철에 며느리가 보낸 고추가루는 무슨 의미인가 한국인의 소울푸드 김치를 담는 김장철입니다. 김장은 대부분의 한국 가정에서 식생활과 관련하여 가장 큰 집안행사입니다 .설, 추석 명절을 제외하고 가장 큰 집안 일이었지만, 요즘에는 꼭 그렇지도 않는 것 같습니다. 김장을 담그지 않는 집들도 있고, 김장을 하더라도 아주 조금만 담그는 것입니다. 사실 김장은 워낙 대량(3~12개월 취식용)의 부식을 만드는 것이라 여간 힘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주부들에게는 비명이 절로 나오는 대사건이지요. 며칠 전에 김장을 담가 90대 노모님께 드리러 갔습니다. 김치를 보면서 반가워하시는 끝에 한 가지 고심을 털어놓으셨는데, 큰 며느리가 고추가루를 보내왔다는 것입니다. 매년 큰 며느리가 김치를 담아 시어머니 드실 만큼 갔다드렸는데올해에는 당뇨가 와서 김장을 담글 수 없.. 성경 말씀대로라면 일요일은 쉬는 날이 아니었다 지금 주 5일제 근무하는 공무원에게 토요일과 일요일은 쉬는 날입니다.이것은 원래 성경에서 말하는 세상을 창조한 하나님이 제7일 차 되는 날에는 일하지 말고 쉬어라고 해서 쉬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에서 말하는 제7일차 안식일은 토요일입니다.일주일의 시작은 일요일에서 시작하여 토요일로 끝나는 것입니다. 달력을 보세요.성경의 창세기에서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고 제7일차 되는 날은 쉬었다고 해서 유대인들은 토요일에 노동을 금지하고 예배하는 날이었습니다. 예수님은 금요일날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사흘째 되는 날인 일요일에 부활했습니다.그 후 예수의 제자들은 유대의 전통적인 안식일인 토요일보다 일요일 모여서 기도하고 예배했습니다.로마제국에서 그리스도교를 받아들일 때, 황제는 예수의 부활에.. 트럼프 집안 구조(가계도) 한국인의 눈으로 보는 트럼프의 가계도는 놀랍다. 미국인들의 인식은 어떨ㄲ?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가계도와 그의 가족에 대한 미국인들의 인식은 다양하고 복잡합니다. 트럼프 가문은 종종 "미국의 왕조"로 불리며, 정치와 비즈니스 분야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 트럼프 가족의 주요 구성원 트럼프 가족의 핵심 구성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널드 트럼프: 제45대 미국 대통령이자 2024년 대선에서 승리한 제47대 대통령 당선인 - 멜라니아 트럼프: 도널드 트럼프의 현 부인이자 전 퍼스트레이디 -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트럼프의 장남으로, 아버지가 백악관을 떠난 후 더 큰 정치적 역할을 맡게 됨- 이방카 트럼프: 트럼프의 장녀로, 전 백악관 선임고문 - 에릭 트럼프: 트럼프의 차남.. 트럼프 대통령이 매일 먹는다는 알약 3가지 도널드 존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의 나이는 78세(1946년생)입니다. 트럼프는 역사상 가장 나이 많은 대통령으로 기록되며, 현재 다시 대선에 출마해서 당선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시간의 건강검진 결과 건강 상태가 매우 좋은 것으로 드러났다고 미국의 주요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11월 8일(현지) 메릴랜드주의 월터 리드 군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았다고 로이터 통신과 블룸버그 통신 등이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시 복용하고 있는 약물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보가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매일 세 가지 약물을 복용하고 있습니다: 1. 콜레스테롤 강하제: 10mg - 이 약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2. 아스피린: 81mg - 심.. [성경] 예수가 원수를 사랑하라고 말한 의미는? 성경을 통틀어 예수님의 가장 핵심적인 메시지는 뭘까요?라고 묻는다면 "사랑하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너 자신을 사랑하고, 네 이웃을 사랑하고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것이지요. 성서를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김학철 연세대 교수의 설명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원수를 사랑하라는 말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당시 사회, 문화, 법률에 대해 알아야 한다고 합니다. 예수 활동 당시 사회는 신분제 사회였다. 노예가 있고, 통치자가 있고, 관리와 농부가 있었다. 각 신분별 계층에 따라 덕목이 달랐다. 노예의 덕목은 주인의 말을 잘 듣고 순종하는 것이었다. 쓸모 있는 종인 것이다. 군인은 용기가 있어야 했다.통치자(왕)의 덕목은 지혜, 용기, 자비심, 경건함이었다. 그리고 가난한 당시 하층면들은 매 끼니를 때우는 것이..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 목록 더보기